화력발전소 폐쇄 앞둔 당진..주민지원 장기계획 수립 착수 > 당진화력 환경·안전 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당진화력 발전소

석탄화력발전소의 환경, 안전 감시활동과
투명한 신뢰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당진화력 환경·안전 소식

글제목 : 화력발전소 폐쇄 앞둔 당진..주민지원 장기계획 수립 착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감시센터 작성일 25-08-13 11:17

본문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 장기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 열려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 장기계획 수립을 위한 착수보고회가 지난 6일 당진시청 소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지나영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 장기계획 수립을 위한 착수보고회가 지난 6일 당진시청 소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지나영

[당진신문=지나영 기자] 당진시가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의 실효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장기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지역 활성화와 가시적 성과를 위한 전략적 대응으로, 지난 6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추진 계획을 공유했다.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제도는 1990년부터 시행됐으며, 지원금은 발전기별 발전량을 기준으로 산정된다. 당진시에는 석문면, 송악읍, 송산면, 신평면, 고대면, 대호지면 등 6개 지역이 발전소 주변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지역의 인구는 2024년 기준 시 전체의 43.7%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령화율은 대호지면(56.3%)이 가장 높고, 고대면(42.5%), 석문면(34.3%)이 그 뒤를 이었다.

2025년 당진시 발전소 주변지역 기본지원사업 교부금은 총 31억 1500만원으로 편성됐으며, 이 중 당진발전본부가 20억여원으로 가장 많은 지원금을 부담한다. 이어 GS-EPS가 6억 2400만원, 태양광(특별지원금)이 3억 600만원, 평택·신평택발전이 8000만원을 부담한다.

당진화력의 지원을 받는 석문면, 고대면, 송산면은 해양 관련 사업, 마을 공동 농지 매입, 소규모 주민 숙원 사업 등에 지원금을 활용하고 있다.

GS-EPS 지원 대상인 송악읍과 신평면은 마을 공공시설 보강, 마을 안길 및 농로 포장, 건강검진비 지원 등에 활용 중이다. 

평택·신평택발전의 지원금은 송악읍, 신평면, 송산면에서 제설 차량 구입, 태양광 가로등 설치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단계적 폐쇄가 예고된 가운데, 주민들은 실질적 수익 감소와 지역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속 가능한 수익창출형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장기계획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고령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단순한 일회성 사업보다는 관광객 유치 등 장기적이고 자립 가능한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용역은 2025년을 기준 연도로 설정하고,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의 시간적 범위를 설정해 지역 현황과 발전 전망 분석, 중·장기 및 단기 사업계획 수립, 화력발전소 폐쇄 대응 전략, 신재생에너지 활용 계획 등을 포괄한다.

당진발전본부  전경. ⓒ당진신문DB당진발전본부 전경. ⓒ당진신문DB

용역 수행사는 사업 비전을 ‘주민과 상생하는 대한민국 대표 에너지 전환 허브’로 정하고 △친환경적인 가치를 활용한 관광기반 조성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현명한 에너지전환 △지역 자원과 주민 공동체 연계로 동반성장 기반 구축을 목표로 세웠다.

세부 사업으로는 생애주기별 건강 지원 시스템 구축, 지역 콘텐츠를 활용한 관광 활성화 및 디지털 환경 조성, 주민 수익사업 확대 등이 포함됐다.

마을별로는 △석문면-드론 생태계 구축, 전 지역 도시가스화 △고대면-정원문화 구축, 스마트 원예단지 조성 △대호지면-역사문화자원 발굴 및 체험공원 조성, 마을관리소 운영 △송산면-수소클러스터 조성, 주민소득창출 공간 조성 △송악읍-근로자 복합문화센터, 정주 여건 개선 △신평면-생태공원 조성, 해양레저관광단지 개발 등이 제안됐다.

어촌계 특화사업으로는 △난지도어촌계-대난지섬 어업센터, 위험시설 정비 △교로어촌계-로컬푸드 및 바지락 가공시설 등 △장고항어촌계-해양아트갤러리 조성, 어업인 커뮤니티센터) 등이다.

이날 보고회에 참석한 박명우 시의원은 “발전량이 적어지면 지원사업은 축소될 수밖에 없고, 수익사업을 원할 수밖에 없다”며 “요즘 영농형 태양광도 확대되는 만큼 이에 대한 내용도 감안해서 용역에 담아달라”고 제안했다.

송악읍이장협의회 이용태 회장은 “일부 마을은 몇 년 동안 사업비를 모아 농지를 매입해 혜택을 보기도 하지만, 일부 지역은 아닌 경우도 있다”며 “현장을 파악해서 실질적인 지원사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심의수 시의원은 “당진화력 폐쇄에 따른 지역 피해 최소화도 반드시 용역에 포함돼야 한다”고 지적했으며, 전영옥 시의원은 “주민참여형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모범 사례를 참고해 대안을 모색해 달라”고 주문했다.

황침현 당진시 부시장은 “실효성 있는 사업뿐 아니라 사후관리와 운영 방안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며 “지속 가능하고 주민 체감도가 높은 사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출처 : 당진신문 8월 9일자 (지나영 기자)


당진화력발전소 민간환경감시센터대표전화 : 041-357-9693팩스 : 041-357-9698이메일 : djec9693@naver.com
주소 :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대호만로 2301, 1층 (우) 31700 (지번 : 교로리 930-1)

Copyright © 당진화력발전소 민간환경감시센터. All Rights Reserved.